2022년 국가공무원 수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국가공무원은 신분보장 여부에 따라 경력직, 특수경력직으로 나누고 직종에 따라서는 일반직, 특정직, 정무직, 별정직 공무원으로 구분됩니다. 직종별 국가공무원 수와 정부 부처별 일반직 공무원 수에 대해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나라 직종별, 부처별 국가공무원 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공무원은 말 그대로 공적 업무를 하는 일을 직업으로 선택한 사람을 말합니다.
우리가 주변에서 보는 제일 흔하게 보는 공무원들은 행정복지센터 공무원, 경찰관, 소방관, 교사 등 주로 행정부 공무원을 주로 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대통령을 정점으로 행정부 공무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삼권분립 기관에 해당하는 입법부·사법부가 있으며 추가로 헌법재판소·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무원이 있습니다.
공무원 수에 대한 자료는 인사혁신처에서 3년마다 발행하는 인사혁신 통계연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2022년 6월에 2021.12.31. 기준자료로 공무원에 대한 통계를 작성하였습니다.
참고로 공무원 정원은 정부포털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정원과 현원은 다른 개념으로 장기적으로 현원은 정원과 일치하게 되어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 내용은 인사혁신 통계연보를 참고하여 현재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의 수로 공무원 현원입니다.
먼저, 전체 공무원 수는 1,156,326입니다. 21년 말 기준 우리나라 인구가 51,638,809명이니 대략 우리나라 인구의 2.2%가 공무원입니다.
전체 공무원의 대다수는 행정부 공무원으로 그 수는 1,129,545명입니다. 그중 국가공무원이 756,519명이고 지방공무원이 373,026명입니다.
행정부 공무원을 제외한 입법부는 4,801명, 사법부는 18,429명, 헌법재판소는 362명, 중앙선관위는 3,189명입니다.
1. 직종별 국가공무원 수
국가공무원은 크게 경력직 공무원과 특수경력직 공무원으로 구분됩니다. 경력직 공무원은 속칭 '늘공'으로 부르며 대부분 공무원 시험을 통해 임용된 사람으로 정년을 보장받습니다. 이에 반해 특수경력직 공무원은 '어공'으로 신분이나 정년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1) 경력직 공무원
경력직 공무원에는 일반직 공무원과 특정직 공무원이 있습니다. 일반직 공무원은 일반 행정을 담당하는 공무원으로 주로 국가공무원법에 규정되어 있으나 특정직 공무원은 국가공무원법 외 해당 공무원법을 별도로 적용받는 공무원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경찰공무원법, 교육공무원법을 적용받습니다.
특정직 공무원에는 검사, 외무, 경찰, 소방, 교사, 장학관, 장학사, 교육연구관, 교육연구사, 군인, 군무원, 경호공무원, 국가정보원의 직원 등이 있습니다.
일반직 공무원의 수는 178,199명이고 특정직 공무원은 577,620명입니다. 특정직 공무원 중 외무공무원은 2,125명, 경찰 140,835명, 소방 61,051명, 검사 2,217명, 교육공무원 371,392명입니다.
특정직 공무원 중에서는 교사가 포함된 교육공무원이 1위로 제일 많고 경찰, 소방이 각각 2위, 3위입니다.
특정직 | 현원 | 비고 |
검사 | 2,217 | |
경찰 | 140,835 | |
소방 | 61,051 | 소방관, 구급대 등 |
외무 | 2,125 | 외교관, 외무직원 등 |
교육 | 371,392 | 교사, 장학관, 장학사 연구관, 연구사 |
2) 특수경력직 공무원
특수경력직 공무원에는 정무직 공무원과 별정직 공무원이 있습니다. 정무직 공무원은 보통 선거에 의하거나 대통령이 임명하는 공무원으로 총리, 장·차관이 여기에 해당하며 2021년 말 기준 136명입니다.
별정직 공무원은 이에 반해 법에서 별정직으로 지정하는 공무원으로 비서, 보좌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2021년 말 기준 564명입니다.
2. 부처별 일반직 국가공무원 수
앞서 알아본 바와 같이 일반직 국가공무원은 2021년 12월 31일 기준 178,199명입니다. 일반직 공무원은 50개가 넘는 정부 각 부처에 배치되어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은 공무원인 일하는 1위 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입니다. 35,383명이 일을 합니다. 여기에는 우체국에서 일하는 우정직 공무원들이 포함된 수입니다.
다음으로 2위 부처는 법무부입니다. 법무부 공무원에는 교정직, 출입국관리, 보호직 공무원 등이 포함됩니다. 3위 부처는 국세청입니다. 세무서에서 각종 세금 관련 일을 하는 공무원입니다.
4위 부처는 대검찰청입니다. 대검찰청에는 특정적인 검사 외 검찰 수사관 및 행정업무를 보는 공무원들이 일을 합니다. 검사는 특정직이나 그 외 검찰청에서 일하는 공무원은 일반직 국가공무원입니다.
5위 부처는 고용노동부입니다. 노사 관련 업무를 하며 산하조직으로 각 지방고용노동청 등이 있습니다. 6위 부처는 교육부입니다. 흔히 학교 행정실에서 일하는 공무원으로 교사와 달리 이들은 교육행정직으로 교육부 공무원입니다.
7위는 경찰청입니다. 최근에 경찰청에서 일반직 공무원을 많이 채용하였습니다. 경찰 행정직은 경찰과는 달리 행정업무와 치안현장을 보조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8위는 관세청, 9위는 국토교통부, 10위는 해양수산부가 차지하였습니다. 각 부처별 인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처 | 현원 | 순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35,383 | 1 |
법무부 | 23,765 | 2 |
국세청 | 23,294 | 3 |
대검찰청 | 8,834 | 4 |
고용노동부 | 8,741 | 5 |
교육부 | 7,338 | 6 |
경찰청 | 5,728 | 7 |
관세청 | 5,671 | 8 |
국토교통부 | 4,530 | 9 |
해양수산부 | 4,225 | 10 |
행정안전부 | 4,059 | 11 |
농림축산식품부 | 3,791 | 12 |
문화체육관광부 | 2,842 | 13 |
보건복지부 | 2,707 | 14 |
환경부 | 2,703 | 15 |
통계청 | 2,337 | 16 |
식품의약품안전처 | 2,204 | 17 |
병무청 | 2,054 | 18 |
산림청 | 1,995 | 19 |
특허청 | 1,967 | 20 |
농촌진흥청 | 1,951 | 21 |
질병관리청 | 1,632 | 22 |
산업통상자원부 | 1,545 | 23 |
국가보훈처 | 1,519 | 24 |
기상청 | 1,459 | 25 |
해양경찰청 | 1,326 | 26 |
기획재정부 | 1,306 | 27 |
방위사업청 | 1,181 | 28 |
조달청 | 1,154 | 29 |
중소벤처기업부 | 1,136 | 30 |
감사원 | 1,124 | 31 |
국방부 | 1,107 | 32 |
문화재청 | 1,044 | 33 |
공정거래위원회 | 714 | 34 |
통일부 | 670 | 35 |
인사혁신처 | 649 | 36 |
외교부 | 613 | 37 |
국민권익위원회 | 558 | 38 |
국무조정실 | 500 | 39 |
금융위원회 | 363 | 40 |
여성가족부 | 334 | 41 |
방통통신위원회 | 313 | 42 |
기타 정부기관 | 297 | 43 |
법제처 | 284 | 44 |
국가인권위원회 | 261 | 45 |
원자력안전위원회 | 187 | 46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179 | 47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166 | 48 |
새만금개발청 | 141 | 49 |
소방청 | 108 | 50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 85 | 51 |
국무총리비서실 | 76 | 52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 49 | 53 |
일반 국가공무원 합계 | 178,199 | 2021.12.31 기준 |
우리나라 공무원의 직종별, 부처별 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체 공무원이 115만이며 행정부 공무원은 113만으로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행정부 공무원 중에서는 국가공무원이 76만 명으로 지방공무원보다는 많습니다.
국가공무원 대다수는 교사, 경찰, 소방 등 특정직 공무원이 차지합니다. 일반직 국가공무원은 18만 정도이고 우체국 공무원을 포함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무원 수가 1위입니다. 이어 산하기관이 많은 법무부가 2위 세무서를 포함하는 국세청 공무원이 3위입니다.
앞으로 공무원 수는 최근 정부 예산의 긴축기조에 맞추어 앞으로 조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업무에 비해 낮은 임금 등으로 직업으로서 공무원에 대한 인기도 낮아질 거라 생각됩니다.
오늘 포스팅이 공무원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2년 공무원 직종별 월급 연봉 계산 비교 (행정 공안 경찰 교사)
공무원 휴직제도 사유 및 종류에 대하여 (기간 급여 재직기간 호봉)
공무원 징계 정의 사유 종류 효력 (징계자 재직기간 승급 호봉 급여)
'생활정보 > 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연가보상비와 연가저축 비교 어디가 유리한가? (0) | 2022.12.12 |
---|---|
경찰 부서별 업무에 대해서 (경찰서 기준) (1) | 2022.11.04 |
공무원 징계 정의 사유 종류 효력 (징계자 재직기간 승급 호봉 급여) (0) | 2022.09.29 |
공무원 휴직제도 사유 및 종류에 대하여 (기간 급여 재직기간 호봉) (0) | 2022.09.17 |
22년 공무원 직종별 월급 연봉 계산 비교 (행정 공안 경찰 교사) (0) | 2022.09.13 |
댓글